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재정칼럼] 예측 불허 시대의 투자 전략

이명덕 재정학 박사

이명덕 재정학 박사

지난해 미국 주식시장은 23%, 2023년에는 24%라는 놀라운 상승률을 기록했지만, 최근 하락세를 보이며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주식 시장 폭락과 경기 침체 가능성까지 제기되면서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대부분의 투자자는 투자 결정에 앞서 주식 시장의 향방에 촉각을 곤두세운다. 이러한 투자 심리를 반영하듯, 금융 기관들은 끊임없이 주식 시장 예측을 쏟아낸다.
 
돌이켜보면, ‘이코노미스트’지는 2022년 또는 2023년에 경기 침체가 올 것이라고 경고했고, JP모건의 제이미 다이먼 회장은 2022년에 미국 경제를 덮칠 ‘허리케인’을 언급했다. 브리지워터의 레이 달리오 대표 역시 2023년에 경제적 고통의 ‘퍼펙트 스톰’을 예상했다.
 
더블라인캐피털의 제프리 군드라흐 대표는 2024년 주식 시장이 3200까지 폭락할 것이라고 예측했지만, 실제 시장은 5881로 마감되며 예측과 큰 차이를 보였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에 대한 해명을 요구했으나 아직 답변은 없는 상황이다.
 
이처럼 저명한 전문가들의 잇따른 예측에도 불구하고, 주식 시장은 지난 2년간 오히려 상승세를 이어갔다.
 
1950년부터 미국은 11번의 경기 침체를 겪었다. 투자자들이 끊임없이 시장 예측에 귀 기울이는 이유는 바로 투자 손실을 피하고 싶은 간절한 마음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심정은 충분히 이해되지만, 인생과 마찬가지로 투자는 끊임없는 선택의 연속이다. 항구에 머무는 배는 안전하지만, 결코 물고기를 잡을 수 없는 것처럼 말이다.
 
20% 이상 하락하는 약세장(Bear Market)은 투자자에게 고통스러운 경험이다. 폭락의 원인은 매번 다르지만, 투자자들의 불안과 두려움은 변함없다. 폭락 기간을 예측하는 것 또한 어렵다. 하지만 분명한 사실은 주식 시장은 끊임없이 상승과 하락을 반복해 왔으며, 결국 모든 폭락을 이겨내고 다시 상승했다는 점이다.
 
주식 시장이 폭락하면 자산 가치는 일시적으로 감소한다. 그러나 건전한 투자는 시장 하락 시에도 꾸준한 배당금을 지급하여 투자자들이 저렴한 가격에 주식을 추가 매수할 기회를 제공한다. 시간이 흘러 시장이 회복되면, 늘어난 주식 수는 더 큰 자산 증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미국 주식 시장은 1950년부터 2023년까지 1200번이나 최고점을 경신했다. 이는 연평균 17번, 즉 평균 20일마다 새로운 최고점을 기록한 셈이다. 특히 작년에는 57번의 최고점 기록을 갈아치웠다.
 
주식 시장의 수익률 또한 지난 5년간 연평균 15.38%, 10년간 13.32%, 20년간 10.47%, 그리고 30년간 10.98%라는 높은 평균 수익률을 보여준다. 이처럼 전문가조차 예측하기 어려운 주식 시장에서 단기적인 예측에 의존하기보다는 꾸준한 장기 투자를 유지한다면 연평균 10% 이상의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복리 효과를 고려할 때, 연평균 10% 수익률은 10만 달러 투자금을 약 7.2년마다 두 배로 불려나가는 놀라운 결과로 이어진다.
 
노후 대비와 은퇴 후 생활 자금 마련은 단기간이 아닌 수십 년에 걸친 장기적인 계획이다. 투자자들은 낙관적인 마음으로 꾸준히 장기 투자한다면 자산을 성공적으로 증식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이명덕 / 재정학 박사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