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미국발 무역전쟁에 올해 경제성장 0.1% 전망
학계 "인프라 부양책 효과 내년에나"
학계 "인프라 부양책 효과 내년에나"
(베를린=연합뉴스) 김계연 특파원 = 올해 독일 경제가 미국과 유럽의 통상분쟁 여파로 사실상 제자리걸음할 것이라고 학계가 전망했다.
독일경제연구소(DIW)와 킬세계경제연구소(IfW)·할레경제연구소(IWH) 등 5개 싱크탱크는 10일(현지시간) 발표한 공동 경제전망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0.8%에서 0.1%로 대폭 낮췄다.
독일 경제는 2023년 -0.3%, 지난해 -0.2%로 2년 연속 역성장을 기록했다. 연방정부는 통상갈등이 본격화하기 전인 지난 1월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1%에서 0.3%로 하향 조정한 바 있다.
학계는 미국의 철강·알루미늄·자동차 관세가 올해와 내년 국내총생산(GDP)에 0.1%의 타격을 줄 것이라며 미국발 통상갈등을 경제성장에 최대 장애물로 꼽았다.
라이프니츠경제연구소(RWI)의 토르스텐 슈미트는 미국이 유럽연합(EU)에 적용하기로 한 20% 상호관세에 대해 "오늘날 글로벌 경제 구조에서 관세율이 이만큼 인상된 적이 없어 영향을 수치화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독일에서는 차기 정부가 12년간 5천억 유로(807조원)의 인프라 투자기금을 조성해 쓰기로 하면서 경기가 살아날 것이라는 기대가 일었다. 그러나 싱크탱크들은 특별예산으로 인한 경기부양 효과가 내년에나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내년도 경제성장률은 1.3%로 기존 전망치를 유지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계연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