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하늘 아래 가득한 질문 하나"...문정희 시인이 산티아고 순례길에 새긴 시는?


문정희 시인의 시가 한글로 새겨진 돌. 스페인 최고 대학 중 하나인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학에 있는 '말하는 돌의 정원'을 구성하는 일부다. 사진 국립한국문학관
스페인 서북단의 오래된 도시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는 도보 여행자들의 성소다. '산티아고 순례길'의 종착점이어서다. 시를 사랑하는 여행객에게는 갈 곳이 한 군데 더 생겼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 중 하나인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학(15세기 설립) 캠퍼스에 마련된 '말하는 돌의 정원(The Garden of the Speaking Stones)', 세계적인 시인들의 시를 새긴 돌들을 모은 정원이다.

1995년 노벨문학상을 받은 아일랜드 시인 셰이머스 히니(2013년 작고), 노벨상 후보로 단골 거론되는 시리아 시인 아도니스, 스페인어권의 부커상에 해당하는 세르반테스상을 받은 스페인 시인 안토니오 가모네다…. 자국 언어로 돌에다 시를 새기는 특권을 허락받은 18개 언어권 18명의 시인 가운데 한국 시인도 포함돼 있다. '거침없는'이라는 수식어가 부족하지 않은 문정희(78) 시인이다. 중국이나 일본 시인은 없다.

시가 새겨진 돌을 만져보는 문정희 시인. 쉽게 옮길 수 없는 육중한 크기다. 사진 국립한국문학관.
'말하는 돌의 정원'을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 18개 언어권 18명의 세계적인 시인들의 시 돌을 나선형으로 배치했다. 이 나선형은 시 돌이 늘어나며 점점 확대될 예정이다. 사진 국립한국문학관
2022년부터 3년 임기 국립한국문학관 관장을 맡고 있는 문 시인은 최근 15번째 시집 『그 끝은 몰라도 돼』(아침달)를 출간한 데 이어 지난달 말 스페인 현지에서 열린 '시 돌' 제막식에 참석하고 돌아왔다. 여성주의를 추구하면서도 그 안에 매몰되지 않는 시 세계를 추구해 온 문 시인은 해외 진출이 빨랐다. 동아시아 시인에게 주어지는 스웨덴의 시카다상을 고은·김혜순보다 먼저 받았다.

스페인 돌에 한글로 새긴 작품은 단 세 줄로 이뤄진 '산티아고 순례길'이다.

'나를 만날 수 있는 것은/ 나뿐인가/ 하늘 아래 가득한 질문 하나'

"지금까지 2000편 넘는 시를 썼고, 시간 촉박한 즉흥시도 많이 썼지만 이번 시 쓰기는 특히 힘들었다고 제막식에서 밝혔다"고 전했다. "수백㎞를 걸어 종착점에 도달한 이에게 가장 절박한 언어가 무얼까, 나는 누구인가, 어디로 가는 것이 좋은가, 이런 질문이 아니겠나 생각했다"고 소개했다.

문 시인은 현지 독자들도 만났다. 마드리드 콤플루텐세 대학과 포르투갈의 리스본 대학 등에서의 문학 강연에서다. "근대 작가 김명순과 나혜석이 여성이라는 이유로 겪어야 했던 수난을 소개한 후 노벨상을 받은 한강까지 연결시켰다"고 했다. "한국에서 여성 작가는 글을 쓰는 고통뿐 아니라 일제 식민지, 한국전쟁, 이후 산업화 시기를 관통하며 역사와 사회에서 밀려난 타자로서의 고통 또한 감내해야 했는데, 요즘 젊은 여성작가들에도 그런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는 얘기였다"고 소개했다.

특히 "돈을 받고 죽은 자를 애도하는 스페인의 '플라니데라(Plañidera)'와 비슷한 곡비(哭婢·양반을 대신해 곡하던 계집종)라는 존재가 한국에도 있다고 하자 반응이 뜨거웠다"고 전했다. 어딜 가나 청중의 80~90%가 여성이어서 스페인에서도 여성이 문화 수용의 중심임을 실감했다고 한다.

문정희 시인이 출간한 시집 ''그 끝은 몰라도 돼' 표지. 사진 아침달
"포르투갈에서는 국민작가 격인 페르난두 페소아(1888~1935)가 문화적으로 혼자 다 하는 것 같았는데 일개 작가라기보다 하나의 성채 같다는 느낌을 받았다"며 "노벨상 작가 덜렁 배출했다고 해서 그 나라의 문학 수준이 올라가지는 않는다. 자국 문학을 사랑하고 자부심을 느끼는 독자가 늘어야 한다"고 했다.

새 시집에서 문 시인은 시를 '사람에게서 나오는 자연의 비명소리'에 빗댔다. 여전히 싱싱한 작품을 쓰는 비결을 묻자 "좋은 가르침이나 이론서에서 배운 것들을 모두 던져 버려야 한다. 그렇게 하면 때로는 그것들이 다 도움이 된다. 억지로 쓰지 말고 쓰고 싶은 충동이 일 때 써야 하는데, 그 충동을 모시는 일이 쉽지 않다. 여행도 다니고 연애 감정도 살려보고, 발가락에 다이아몬드 반지를 껴보기도 한다"고 했다.

신준봉([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