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중국, 7월 정상회담 개최…美관세위협속 관계개선 모색(종합)
EU수장, 中총리와 통화서 정상회담 시기 공개…트럼프 행정부 출범뒤 처음 EU, 美관세 여파 '中 우회물량' 우려 표명…"관세전쟁 확전 자제해야"
EU수장, 中총리와 통화서 정상회담 시기 공개…트럼프 행정부 출범뒤 처음
EU, 美관세 여파 '中 우회물량' 우려 표명…"관세전쟁 확전 자제해야"
(브뤼셀=연합뉴스) 정빛나 특파원 = 유럽연합(EU)과 중국이 오는 7월 정상회담을 개최한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8일(현지시간)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와 전화통화에서 "다가오는 7월 EU-중국 정상회담은 양측의 수교 50주년을 기념하는 적절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EU-중국간 정상회담이 올해 하반기 벨기에 브뤼셀에서 개최될 것이란 관측은 있었지만 시기가 공식적으로 언급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이번 정상회담은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전방위 관세로 국제 무역질서가 흔들리는 상황에 예고된 것이어서 주목된다.
EU는 지난해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고율관세 부과 결정과 이에 따른 중국의 보복조치 등으로 불편한 관계를 이어왔으나,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중국을 향한 비판 수위를 조절하며 관계개선을 모색하고 있다.
중국발(發) 과잉 생산과 '불균형적인' 무역수지 조정이 필요하다면서도 협력은 불가피하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이날 통화에서도 리 총리에게 "미국 관세로 인한 광범위한 혼란에 대응하는 데 있어 세계 최대 시장인 유럽과 중국은 자유롭고 공정한 경쟁의 장을 기반으로 한 개혁된 무역체계를 지원할 책임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이미 글로벌 과잉생산의 영향을 받은 부문에서 (미국) 관세로 인한 무역전환 현상을 해결하는 데 중국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관련 상황을 추적하기 위한 매커니즘 구축 방법을 리 총리와 논의했다.
미국 관세를 피하기 위해 중국 수출물량이 유럽에 과다 유입되지 않도록 협력하자는 의미로 해석된다.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중국의 대미 관세 대응과 관련, "협상을 통한 해결책이 필요하며 추가적인 확전을 피해야 한다"고 당부하기도 했다.
올해 EU-중국 정상회담이 브뤼셀에서 개최되는 만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브뤼셀 방문 여부도 관심사다.
다만 과거 양자 정상회담 시 브뤼셀에서 열리는 회담에는 대체로 중국 총리가 참석했고 시 주석은 중국에서 회담이 열릴 경우 참석했다는 점에서 리 총리 참석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와 관련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지난달 16일 복수 소식통을 인용, EU가 수교 50주년을 기념해 시 주석의 방문을 타진했으나 중국은 리 총리를 보내겠다는 뜻을 전달해왔다고 보도한 바 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빛나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