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조기대선·산불 여파로 벚꽃축제 줄취소…시름 깊어진 상인들

지난 3일 오후 경남 창원시 진해구 여좌천에서 상춘객이 활짝 핀 벚꽃을 배경으로 봄기운을 만끽하고 있다. 연합뉴스
인천시는 최근 오는 5일부터 이틀간 열기로 했던 인천대공원 벚꽃 축제를 취소했다. 지난해 약 25만 명이 다녀간 대표적인 인천의 봄 축제지만 울산·경남·경북 등을 휩쓴 대형 산불 여파와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차질이 생겼다. 인천대공원사업소 관계자는 “산불로 국가적 재난 상황이 발생했고 산불 위기 경보도 ‘심각’ 단계로 발령된 상황에서 축제를 여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해 취소를 결정했다”고 말했다.

대통령 탄핵 선고와 대형 산불 피해 등의 여파로 봄 축제를 취소하거나 연기하는 지방자치단체가 늘고 있다. 윤 전 대통령 파면으로 조기 대통령선거를 치르게 되면서, 지자체 행사가 선거법 위반으로 이어질 소지도 생겼다. 이 때문에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봄이 와도 봄 같지 않다)’이라는 말도 나온다.



봄꽃 피었지만…산불·탄핵 여파로 축제·행사 취소

서울 영등포구는 4일 열기로 했던 여의도 봄꽃축제 개막일을 윤 전 대통령의 탄핵 심판 선고일 때문에 8일로 연기했다. 개막식 무대 행사와 공군 특수 비행팀 블랙이글스의 에어쇼를 취소하는 등 행사 규모도 축소했다.

경기 용인시도 4일로 예정됐던 ‘제9회 정평천 벚꽃 문화민속축제’를 취소했다. 대신 산불 피해지역 지원과 관련된 행정적·재정적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인천 강화군도 산불 예방을 위해 오는 5일부터 13일까지 예정된 강화 고려산 진달래 꽃구경 축제를 취소했다.

봄 기운이 완연한 3일 광주 광주천 일대 산책로에 벚꽃과 개나리 핀 사이를 시민들이 걸어가고 있다. 뉴스1

산불 피해 직격탄을 맞은 영남지역 대부분은 행사를 취소했다. 경북 안동시는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13일까지 예정됐던 ‘퇴계 선생 마지막 귀향길 재현행사’와 지난 2일부터 열릴 예정이던 ‘안동벚꽃축제’ 등을 열지 않기로 했다. 경북 봉화군도 오는 11~ 13일 예고했던 ‘2025 벚꽃엔딩축제’를 취소했다. 경남 하동군도 지난달 28~30일로 예정했던 ‘제27회 화개장터 벚꽃축제’를 열지 않기로 했다.

지난 4일 윤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조기 대선이 가시화되면서 지자체들의 축제 개최 고민은 더 깊어졌다. 현행 공직선거법상 지자체장은 선거일 전 60일부터 선거일까지 선거법 위반 가능성이 있는 모든 행사를 열 수 없기 때문이다. 각 지역 선거관리위원회엔 4~5월에 열리는 축제·행사나 사업이 선거법 위반에 해당하는지 묻는 연락이 쇄도한다고 한다.

경기 수원시는 5월 전통시장, 소상공인 점포 할인 행사를 지원하는 ‘새빛세일페스타’를 준비했지만 조기 대선 일정이 명확해질 때까지 6월로 잠정 연기하기로 했다. 고양시도 조기 대선을 치를 경우 오는 25일 열 계획인 ‘고양국제꽃박람회’ 개막식 규모를 축소하기로 했다. 선거법 위반 시비를 없애기 위해 내빈 인사말 순서 등을 생략할 계획이다.



“국가적 재난 이해하지만…” 자영업자들은 서운

잇단 축제·행사 취소에 봄철 대목을 준비하던 숙박업소와 음식점 등 자영업자들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지역 상인회 관계자는 “경기 침체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산불 피해 이후로 관광을 꺼리는 분위기까지 이어지면서 손님이 많이 줄어든 상태”라며 “대목인 봄 축제만 기다렸는데 취소 소식이 이어지니 어떻게 해야 할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지난 4일 서울 강남구 양재천을 찾은 시민들이 활짝 핀 벚꽃을 찍고 있다. 뉴스1
일부 지자체는 지역 경제를 고려해 행사를 예정대로 진행하기로 했다. 경남 창원시는 지난달 28일부터 6일까지 ‘제63회 진해군항제’를 연다. 다만 인근 경북지역 등에서 산불 피해를 본 것을 고려해 군악대 행진 등 군 관련 행사는 전면 취소했다. 창원시는 “수 개월간 군항제를 준비한 데다 지역 경제 활성화 등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해 행사를 취소·연기하기 어렵다”고 했다.

경기 오산시도 5일 개최한 ‘벚꽃 데이 축제’를 영남지역 산불 피해 주민돕기와 연계해 개최하기로 했다. 이훈 한양대 교수(관광학과)는 “국가적 재난이 발생하면 가장 먼저 관광산업이 위축되면서 지역 경제 악화로 이어진다”며 “축제·행사를 무조건 취소하고 연기하기보단 애도하면서도 지역 경제를 살릴 수 있는 정책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최모란([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