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리그 찾은' 홍명보 감독, "어린 선수들이 잘 성장해야 대표팀도 강해진다" [오!쎈현장]
![[사진]OSEN DB.](https://www.koreadaily.com/data/photo/2025/04/05/202504042351777102_67eff48fe813a.jpg)
[사진]OSEN DB.
[OSEN=장훈고, 우충원 기자] "대한축구협회 직원들이 MIK(한국축구기술철학 Made In Korea)를 발전시키기 위해 열정적으로 준비하고 있습니다". 축구대표팀 홍명보 감독은 4일 오후 서울 장훈고등학교에서 열린 2025 전반기 전국 고등축구리그 서울 장훈고와 서울 동북고의 경기를 현장에서 지켜봤다. 이 자리에는 박건하 수석코치, 김진규 코치, 양영민 GK코치 등 대표팀 코칭스태프들도 함께 했다. 1~2월 유럽 각국을 누비며 손흥민(토트넘), 이강인(PSG), 김민재(바이에른 뮌헨) 등 대표팀 주축들과 배준호(스토크시티) 오현규(헹크), 양현준(셀틱) 등 젊은 피까지 두루 파악했던 홍 감독은 3월 A매치(20일 오만, 25일 요르단)까지 바쁜 시간을 보냈다. 경기 시작 전부터 교정은 들썩였다. 경기를 관전하러 대표팀 코치진과 함께 장훈고를 찾은 홍 감독을 향해 학생들이 몰려들었다. 장훈고 학생들은 핸드폰으로 홍 감독을 찍고 그의 이름을 연호하며 응원을 보냈다. 대표팀의 3월 A매치 졸전과 그에 따른 비판 여론에 마음이 꽤 무거웠을 홍 감독은 10대 팬들의 뜨거운 응원에 힘을 받았다. 올해 고등리그는 예산 지급 방식 변경 등의 사정으로 지각 개막했다. 이 때문에 마음고생했을 지도자, 학부모들에게 힘을 실어주고자 홍 감독을 비롯한 대표팀 코치진이 현장을 찾게 됐다. 이번 방문은 KFA 지난해 마련한 한국 축구의 통일된 발전 모델인 MIK가 유소년 현장에서 제대로 운영되고 있는지 파악하는 의미도 있다. 경기 하프타임에 취재진과 만난 홍 감독은 "이 선수들이 잘 자라줘야 한국 축구가 강해진다. 굉장히 중요한 연령대다. 유럽에 나가 있는 양민혁(퀸스파크 레인저스), 배준호(스토크시티)와 오늘 경기하는 선수들은 1∼2년 차이밖에 안 난다. 이 선수들이 잘 자라서 좋은 선수가 되면 국가대표팀도 강해진다"고 강조했다.
이어 "개막이 늦어지고 축구협회도 공백이 있었다. 하지만 MIK 사업을 담당하는 직원들은 열정적으로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령별 대표팀 감독과 대한축구협회 전무이사 등을 경험한 홍 감독은 장기적 관점에서 한국 축구 방향성과 체계 확립의 중요성을 강조해왔다. 적극적인 유소년 발굴이 한국 축구 발전, 대표팀 발전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몸소 체험한 그는 취임 일성부터 연령별 지도자들과의 연계를 강조해왔고 지난해 여름 연령별 대표팀 감독과 축구협회 전임지도자, 전임강사 등 30여 명과 워크숍을 갖는 등 실천에 옮기고 있다. 이번 고등리그 현장 방문도 같은 맥락의 노력이다. 홍명보 감독은 "대표팀 일정에 여유가 있을 때 가능한 현장을 많이 찾으려 한다. 내일도 K리그 현장을 간다"면서 "K리그 현장이야 (대표팀에 선발할 수 있는 선수들을 살펴보는)일이지만 오늘은 다른 의미로 왔다. 가뜩이나 고등리그가 늦게 시작됐는데 우리 지도자들과 아이들, 학부모님들께 작은 응원이라도 드리고 싶었다"고 전했다.
당장 6월 A매치 때 뽑을 만한 선수를 혹시라도 발견했느냐는 '농담성 질문'에 홍 감독은 "몇몇 좋은 선수들이 보인다. 향후에 아주 재능을 보이는 선수들이 있을 것 같다"고 답하며 환하게 웃었다. 또 "재능을 가진 선수들이 좋은 인성과 태도를 가지고 자라느냐에 따라 많은 게 달라진다. 눈에 띄는 몇몇 선수들이 잘 자라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홍 감독은 동북고 출신이다. 이날 전반전 내내 밀리기만 하던 동북고는 막판 골키퍼 키를 넘기는 행운 섞인 중거리 슛으로 선제골을 올렸다. 또 이날 장훈과 동북고는 축구 스타일이 완전히 달랐다. 3학년이 출전한 장훈고는 빌드업을 바탕으로 경기를 펼쳤고 2학년만 출전한 동북고는 수비에 집중했다. 하지만 '날 것'의 축구처럼 치열하게 싸웠다.
초중고 축구리그는 3월초에 막을 올렸어야하지만 시작이 한참 밀렸다. 운영에 필요한 정부의 예산을 받지 못해서다. 초중고 리그는 문체부의 승인과 사업비 지원으로 진행되는데 지난해 축구협회 감사 결과에 따른 후속 조치 미이행을 내세워 지원금 중단을 예고했고 그 여파가 초중고 리그 파행으로 이어졌다.
학생들이 희생됐다. 축구계 안팎의 규탄 목소리가 커지자 문체부는 지난달 18일에서야 초중고 리그와 저학년 리그 운영 등을 위한 보조금 18억 6778만 원을 교부했다. 책정한 전체 사업예산 약 43억 원의 절반도 되지 않는 금액이지만 어쨌든 훈련만 하던 선수들이 비로소 경기를 펼치게 됐다.
한편 홍명보 감독은 리그경기에 대해 "내가 어릴 땐 전국대회 4강에 들지 못하면 (대학에 진학하지 못해) 축구를 더는 못 하는 환경이었다"고 돌아보면서 "이렇게 리그가 생겨서 선수들이 계속 성장할 기회가 되고 있다. 이는 굉장히 좋은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email protected]
[사진] KFA 제공.
우충원([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