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후폭풍…스텔란티스, 미국 공장서 900명 해고
폭스바겐, 가격 인상 움직임…포드는 할인 "GM은 미국 공장서 트럭 생산 늘릴 계획"
폭스바겐, 가격 인상 움직임…포드는 할인
"GM은 미국 공장서 트럭 생산 늘릴 계획"
(서울=연합뉴스) 문관현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 자동차에 부과하기로 한 25% 관세가 3일(현지시간) 정식 발효되면서 글로벌 자동차 업계에 거센 후폭풍이 몰아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다국적 완성차업체 스텔란티스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조치에 대응해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생산을 일시 중단함에 따라 미국 내 5개 공장에서 900명의 근로자를 일시 해고할 것이라고 밝혔다.
임시 감원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이 외국산 수입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직후 이뤄졌으며 그동안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로 제조업이 미국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말해왔다고 FT는 짚었다.
크라이슬러, 지프, 램 등의 브랜드를 보유한 스텔란티스는 관세 여파로 캐나다 온타리오주 윈저에 있는 조립 공장 가동을 2주간 중단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스텔란티스는 캐나다와 멕시코 공장의 가동 중단으로 파워트레인(전동장치) 등 미국 내 부품 생산시설이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미국 자동차 업체 제너럴모터스(GM)는 3일 직원들에게 보낸 웹캐스트에서 인디애나주 포트 웨인 조립 공장에서 경량 트럭 생산을 늘릴 계획이라고 알렸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상대적으로 관세 충격이 덜한 미국 포드자동차는 대대적인 가격 할인에 나설 것으로 전해졌다.
로이터 통신은 포드자동차가 경쟁사들의 가격 인상 움직임과는 달리 모델 전반에 걸쳐 수천달러씩 할인해주는 행사를 시작할 것이라고 익명의 소식통들을 인용해 전했다.
행사명은 '미국으로부터 미국을 위한'이며 일반 고객에게 '직원 할인가'를 적용할 방침이다.
포드자동차는 미국 판매 차량의 80%를 미국 내에서 생산하기 때문에 GM이나 스텔란티스 등 경쟁사에 비해 관세 충격을 덜 받는다.
반면 관세 타격을 크게 받게 된 독일 폭스바겐은 '수입 수수료'를 붙이는 방법으로 판매가 인상을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폭스바겐은 자동차 관세를 적용받는 차량에 별도의 수입 수수료를 붙인다는 계획을 최근 딜러들에게 알렸다.
폭스바겐은 또 멕시코에서 미국으로 들어가는 차량의 철도 선적을 일시적으로 중단했으며 유럽에서 선박을 통해 미국에 도착하는 차량도 항구에서 잠시 보관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뉴욕타임스(NYT)는 폭스바겐의 이런 움직임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와 차량 부품에 부과한 25%의 관세에 대응하기 위해 가격 인상을 꺼내든 첫 번째 사례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문관현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