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최고 관세율은 '아무도 모를 나라' 아프리카 레소토(종합)
상호관세율 50%…"美상품 소량 수입하는 빈국에 징벌적 관세" '9월 만료' 美아프리카성장기회법 종료 신호탄 분석도
상호관세율 50%…"美상품 소량 수입하는 빈국에 징벌적 관세"
'9월 만료' 美아프리카성장기회법 종료 신호탄 분석도
(요하네스버그=연합뉴스) 유현민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가장 높은 상호관세율 50%를 부과받은 나라는 남아프리카의 소국 레소토다.
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레소토는 인구 약 200만명에 국내총생산(GDP)이 20억 달러(2조9천억원)가 조금 넘는 남아프리카공화국에 둘러싸인 가난한 내륙국이다.
주로 다이아몬드와 리바이스 청바지를 비롯한 섬유제품으로 대미 무역 흑자를 낸다. 옥스포드 이코노믹스에 따르면 지난해 총 2억3천700만 달러(약 29억원)에 달하는 대미 수출이 GDP의 10% 이상을 차지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가 미국 상품에 부과되는 관세와 다른 비관세 장벽에 대한 대응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레소토는 미국산 제품에 99%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미국의 상호관세 계산에 사용된 '공식'은 상대 국가와 교역에서 발생한 무역적자액을 이 나라에서 수입하는 금액으로 나눈 값의 절반이다.
그 결과 미국 상품을 소량만 수입하는 레소토와 마다가스카르(47%) 같은 국가가 훨씬 더 부유한 국가보다 더 많은 징벌적 관세를 부과받았다고 로이터통신은 지적했다.
레소토는 미국의 상호관세에 대해 정부 대표단을 미국에 파견해 대응할 방침이라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모케티 셀릴레 레소토 무역부 장관은 이날 기자들에게 "우리는 긴급히 미국으로 가서 우리의 주장을 호소해야 한다"며 "가장 큰 우려는 즉각적인 공장 폐쇄와 일자리 손실"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4일 미국 상·하원 합동 연설에서 충격적 예산 낭비를 일부 확인했으니 들어보라며 레소토를 거명했다.
그는 "아무도 들어본 적이 없는 아프리카 나라 레소토의 LGBTQI+(성소수자 집단)를 증진하기 위한 800만 달러(약 116억원)"라고 말해 청중의 폭소를 자아냈다.
당시 레호네 음포트호아네 레소토 외무장관은 "매우 모욕적"이라고 항의했다.
아프리카 현지에서는 이번 조치가 오는 9월 만료되는 미국 아프리카성장기회법(AGOA)의 종료를 알리는 신호탄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2000년 제정된 AGOA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에서 미국으로 직접 수출할 때 관세와 쿼터를 면제하는 법률로 오는 9월 재연장 여부가 결정된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유현민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