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모델링'은 고칠 필요 없다는 안도감 줘
[집값 올리는 매물 광고 키워드 11개]
평균 5만 달러 들지만 집 밸류 3.7% 상승
베네치안 프라스터·솝스톤 카운터톱 인기

야외 주방은 규모가 천차만별이지만 간단한 시설만 갖춰도 집값을 올리는 효과가 있다.
질로의 조사 결론은 주택 매물 설명에 특정 키워드가 들어가면 예상 가격보다 비싸게 팔릴 가능성 높다는 것이다. 매물 설명에 '리모델링'이라는 단어가 들어가면 평균적으로 질로 예상 가격보다 3.7% 비싸게 팔렸다. 부동산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집 팔 때 유리한 11가지 핵심 키워드다.
▶리모델링
-평균 비용: 1만9488~8만8406달러(평균 5만2272달러)
-추가 집값 상승: 3.7%
매물 설명에 리모델링이란 단어가 있으면 집을 고칠 필요가 없다는 안도감을 준다. 최근에 새로 고쳤다는 사실을 강조하면 판매에도 유리하고 더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다.
▶웻룸(Wet Room)
-평균 비용: 1만3000달러(공사 규모에 따라 차이가 큼)
-추가 집값 상승: 3.3%
단순한 스파 분위기를 넘어서 더 아늑하고 우아한 욕실인 '웻룸'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욕실 중 한 곳을 웻룸으로 바꾸면 판매에 이점을 가질 수 있다.
▶화이트 오크 바닥 (White Oak Flooring)
-평균 비용: 4726달러(스퀘어피트당 4~8달러)
-추가 집값 상승: 3.2%
화이트 오크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아름답다. 옅은 브라운부터 붉은색을 띠는 브라운까지 색조의 폭이 넓다. 단단해서 긁힘이나 마모에 강하다. 매물 광고에 강조하면 판매와 가격 협상에서 유리하다.
▶티크(Teak) 목재
-평균 비용: 바닥재 기준 스퀘어피트당 11~20달러
-추가 집값 상승: 3.1%
티크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어 높은 가치를 인정받는다. 특히 수분과 해충에 강해 고급 가구와 외부 장식에도 많이 사용된다. 가격이 비싸지만 견고해서 긴 목재를 사용해야 할 때 유용하다. 매물 설명에 넣을 가치가 충분하다.
▶베네치안 플라스터 (Venetian Plaster)
-평균 비용: 700달러(규모에 따라 585~815달러)
-추가 집값 상승: 3%
최근에 질감을 강조한 벽이 인기를 끌고 있는데 베네치안 플라스터로 마감한 벽은 이런 트렌드의 대표적인 예다. 이 부분을 강조하면 맞춤 제작했다는 고급스러움도 강조할 수 있다.
▶최신 가전제품
-평균 비용: 구매비 2100~5400달러, 평균 설치비 209달러
-추가 집값 상승: 2.7%
최신 가전제품이 있는 집은 바이어에게 이사한 뒤 추가 비용을 들이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대신 최신 기능을 갖춘 신제품이어야 장점이 있다.
▶솝스톤 카운터톱 (Soapstone Countertop)
-평균 비용: 스퀘어피트당 70~120달러(시공비 포함 2100~7200달러)
-추가 집값 상승: 3.5%
촉감이 비누처럼 부드럽다고 해서 솝스톤으로 불린다. 대리석보다 내구성이 뛰어나고 청소하기도 쉬워 최근 인기가 높아졌다. 열에도 강하다. 디자이너와 요리사에게 일찍부터 인기가 좋았다. 매물 설명에 넣을 가치가 있다.
▶야외 샤워장
-평균 비용: 1000~5000달러
-추가 집값 상승: 2.8%
해변 주택 분위기를 선호하는 구매자들이 늘어나면서, 야외 샤워장이 있는 집은 더 높은 가격에 거래된다.
▶블루스톤 패티오 (Bluestone Patio)
-평균 비용: 스퀘어피트당 6~14달러
-추가 집값 상승: 2.2%
패티오에는 보통 벽돌이나 콘크리트, 돌을 사용한다. 최근 돌 중에서도 내구성이 뛰어나고 고급스러운 자연석인 블루스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쿼츠 카운터톱 (Quartz Countertop)
-평균 비용: 스퀘어피트당 50~200달러
-추가 집값 상승: 2.6%
카운터톱에서 가장 인기 있는 소재는 솝스톤이지만 쿼츠도 여전히 고급 재료로 인정받는다. 부엌과 욕실에 사용하면 가치가 있다.
▶야외 주방
-평균 비용: 6348~2만6903달러
-추가 집값 상승: 2.2%
야외 주방은 조리와 식사 외에 손님맞이 공간도 확장해 준다. 형태와 시설은 매우 다양하지만 간단한 야외 주방도 집값을 올린다.
안유회 객원기자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