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만우절에 공무원들 이렇게 잘렸다…"오겜 같아, 모욕적" 美발칵

 지난 1월(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의 보건복지부 본부 건물 밖에서 수백 명의 직원들이 줄을 서서 출입을 기다리고 있다.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대량 해고 칼바람으로 직장을 잃은 미 보건복지부의 한 공무원이 하루아침에 해고를 통보받은 상황이 한국 드라마 ‘오징어 게임’의 한 장면 같았다고 비유했다.

2일(현지시간) 미 워싱턴DC의 지역 방송 WTOP에 따르면 전날 아침 보건복지부 청사 앞에서는 출근한 직원들이 길게 줄을 서서 출입증 배지를 출입구에 갖다 대고 해당 출입증으로 통과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가 몇 시간 동안 이어졌다.

출입증을 갖다 댔을 때 입구에 달린 전자 등에 초록불이 들어오면 계속 남아있게 됐다는 뜻이고 빨간불이 뜨면 해고됐다는 뜻이라고 직원들은 전했다.

WTOP는 만우절에 벌어진 이 상황이 “농담이 아니었다”며 “그들의 배지가 작동하지 않으면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 중인 인력 감축 작업에 따라 일자리를 잃었다는 뜻”이라고 전했다.

2시간 동안 줄 서 있다가 출입증을 갖다 대자 빨간불을 보게 됐다는 한 직원은 인터뷰에서 “그것은 마치 ‘오징어 게임’ 같았다”고 말했다.

이 직원은 “그것은 모욕적이었다”며 빨간불이 뜬 뒤 자신의 짐을 챙기기 위해 건물 안으로 들어갈 때는 누군가가 동행해줘야 했다고 전했다.

이는 ‘오징어 게임’에서 순식간에 참가자들의 생사가 갈리는 상황을 빗댄 것으로 보인다.

‘오징어 게임’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게임인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는 게임에 등장하는 빨간불과 초록불이 시청자들에게 각인되면서 미국에서 ‘레드 라이트, 그린 라이트’(Red light, Green light)로 불린다.

또 다른 보건복지부 공무원은 전날 오전 5시 직후 출근했다가 주차장에서 청사로 들어가는 입구에서 출입증이 작동하지 않아 해고된 사실을 알게 됐다면서 “그들은 지금 연방 정부 직원들을 고문하고 있다”고 말했다.

WTOP와 인터뷰한 직원들은 지역사회의 정신건강 및 약물 이용 문제를 다루는 부서에서 일했으며, 이들은 자신의 업무가 그동안 많은 생명을 구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가 보건복지부 일자리 1만개 감축 계획에 착수하면서 질병통제예방센터와 식품의약국(FDA) 직원을 해고했다는 보도가 나온 지난 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보건복지부 청사 밖에 보건복지부 직원들이 줄을 서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한 직원은 “우리가 곧 보게 될 것은 약물 과다 복용으로 인한 사망이 증가하고 가장 소외된 지역사회가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된다는 것”이라며 “가슴이 아프다”고 말했다.

다른 직원도 “이 나라에 봉사할 수 있어서 영광이었다”며 “사람들이 우리를 그렇게 쉽게 해고하는 것은 가슴 아픈 일”이라고 했다.

미 언론에 따르면 연방 정부를 효율화하고 지출을 줄이겠다는 트럼프 행정부 지침에 따라 전날 보건복지부를 비롯해 산하기관인 식품의약국(FDA),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등에서 대규모 해고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보건복지부 소속 직원은 모두 8만2000명으로, 해고되는 1만명 외에 추가로 1만명이 정부효율부(DOGE)가 주도하는 이른바 자발적 퇴직 프로그램 등에 따라 부서를 떠날 예정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를 통해 연간 18억 달러(약 2조6000억원)의 비용을 절감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식품의약품 안전과 공중보건 분야의 핵심 인력이 대거 감원되면서 미국의 보건 비상사태 대응 능력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지난 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의 보건복지부 청사에서 일자리를 잃은 연방 근로자(오른쪽)이 짐을 옮기는 데 도움을 받고 있다. AFP=연합뉴스



한영혜([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