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프로그램? AI 시킬게…미국 개발자 일자리 27% 증발



충격적인 ‘2년 통계’

“팩맨(1980년에 발행된 초기 컴퓨터 게임) 때만큼 컴퓨터 프로그래머가 적어졌다.”

미국의 유력 언론 포춘지와 워싱턴포스트가 “미국의 컴퓨터 개발자 고용이 미국고용통계국(BLS) 조사에서 2023년부터 2025년까지 2년간 27.5% 사라져 1980년 이래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면서 이렇게 보도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도 “젠코 어소시에이츠에서 미국노동부 통계를 분석한 결과 올해 1월 IT 부문 실업률이 전년 동월 대비 5.7%로 4% 넘게 상승한 건 인공지능(AI) 기술이 IT 노동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신호”라고 보도했다. 미국의 공식 일자리 통계에서 AI 발(發) 일자리 감소가 확인된 것이다.

김주원 기자
‘저숙련 화이트칼라(사무직)’가 직격탄을 맞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국의 컨설팅 회사 젠코 어소시에이츠의 CEO 빅터 야누아이티스는 “더 쉽게 자동화할 수 있는 작업에 새로운 근로자를 고용하는 대신 일부 기업은 AI가 수행하도록 해 비용 절감을 거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워싱턴포스트는 “컴퓨터 프로그래머는 27.5% 사라졌지만 더 광범위한 일을 하고 고객의 니즈에 맞춰 일하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0.3% 떨어지는데 그쳤다”고 말했다. 고숙련 노동자들은 AI 일자리 공습 영향이 적었다는 의미다.

한국은 어떨까? 고용통계 전문가 김유빈 한국노동연구원 박사는 “국내 IT 인력 통계는 9개월 시차를 두고 발표되기 때문에 아직 수치로 확인할 수 없다”면서 “다만, 현장 특히 금융권 등에서 AI를 도입해 일자리가 사라지는 사례는 많이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표적으로 은행이나 카드사 등 금융권에서는 콜센터에 AI를 도입하면서 빠르게 상담 인력을 축소하고 있다. 한 국내 운용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자료 백업을 도와 줄 리서치어시스턴트(RA)를 뽑아준다고 했는데, 챗 GPT나 퍼플렉시티 구독 지원으로 충분해 거절했다”며 “기업 컨퍼런스콜이나 경제데이터 정리는 AI가 오히려 더 잘한다고 느낀다”고 전했다.

AI로 인한 일자리 변화가 본격화되면서, 국내 노동계와 경영계 모두 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현재 사회적 대화를 보이콧하고 있는 노조 측이 유일하게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는 회의가 올해 1월 출범한 ‘AI와 노동연구회’다. 연구회 좌장을 맡은 김덕호 경사노위 상임위원은 “다임리서치는 무인공장을 만들고 있고, 현대차 미국 공장은 사람보다 로봇이 더 많다. 동원산업은 자체 AI 서비스를 개발해 직무설계를 하고 있다고 하더라”며 “참석자들 공통 반응이 ‘AI 현장 적용 속도가 너무 빠르다’다. 개인적으로 이대로 라면 ‘화이트칼라 불황’이 올 수 있겠다는 생각도 들었다”고 전했다.

하지만 부정적 연구와 전망만 있는 것은 아니다. AI와 노동연구회에 참석한 조정철 LS일렉트릭 부장은 “생산성이 올라 가격 경쟁력을 가지게 된 기업이 성장하면 일자리가 느는 선순환도 있다”며 “LS일렉트릭 청주 사업장은 AI 도입 후 라인이 10개에서 40개로 증가해 일자리가 늘었다”고 소개했다.

세계경제포럼(WEF)도 올해 1월 보고서에서 AI로 인해 5년간 9200만개 일자리가 사라지지만, 새로운 일자리가 1억7000만개 생겨 오히려 일자리가 순증한다는 예측을 내놓기도 했다. 프롬프트 엔지니어, AI 윤리 전문가, 데이터 검증 전문가 등 AI를 활용하는 새로운 일자리가 생길 거라는 전망이다.





김연주([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