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싱크탱크 "北, 전략무인기 격납고 신축…테스트부대 신설한듯"
CSIS 北전문매체 '분단을 넘어', 北무인기 기지 이미지 분석 "북한 무인기에 美무인기에 장착된 첨단 장비들은 탑재 안된듯"
CSIS 北전문매체 '분단을 넘어', 北무인기 기지 이미지 분석
"북한 무인기에 美무인기에 장착된 첨단 장비들은 탑재 안된듯"
(워싱턴=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북한이 전략 무인항공기(UAV) 관련 인프라를 확충하고, 무인기 관련 각종 테스트를 진행할 부대를 창설한 것으로 보인다고 미국의 싱크탱크가 1일(현지시간) 전했다.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북한 전문 매체인 '분단을 넘어'(Beyond Parallel)는 지난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샛별-4급 전략 무인항공기의 변형기종 시험 비행을 참관하기 위해 다녀간 방현 비행장(평안북도 구성시 소재)을 지난달 28일 촬영한 위성이미지를 토대로 발간한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보고서(https://beyondparallel.csis.org/north-korean-strategic-uav-activity-at-panghyon-airbase/) 필자인 CSIS의 조지프 버뮤데즈 선임 연구원과 제니퍼 준 연구원은 "위성 이미지에는 작년 7∼8월께 건설이 시작된 폭 40m의 무인기 격납고 7개가 추가로 완공된 모습이 포착됐다"고 전했다.
필자들은 새로 건설된 7개의 격납고가 현재 북한이 보유한 샛별-4형 및 샛별-9형과, 그 동급의 전략 무인기를 수용할 수 있는 사이즈라면서 "전략 무인기의 실험 및 시험 비행을 위한 8∼16대 운용 규모의 부대가 창설된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또한 북한내 전략 무인항공기의 생산이 계속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이미지라고 필자들은 덧붙였다.
방현 비행장과 방현 항공기 공장은 북한에서 대형 전략 무인항공기의 생산 및 시험 비행이 이뤄지는 유일한 장소로 알려져 있다.
이와 별개로 필자들은 김 위원장이 참관한 무인정찰기 사진 등을 근거로 "북한이 RQ-4B 글로벌 호크나 MQ-9A 리퍼와 같은 미국산 드론을 모방해왔다는 주장이 널리 퍼졌지만, 북한 무인기들은 미국 무인기의 기체 외형을 흉내 낸 것일 뿐, 미국산 무인기에 장착된 첨단 장비와 유사한 수준의 장비는 탑재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고 지적했다.
필자들은 이어 "북한이 샛별-4급 전략 정찰 무인기를 성공적으로 개발한 뒤 비무장지대(DMZ) 및 한국 방공식별구역(KADIZ) 안에 배치한다면 한반도 주변에서의 정세 인식 능력의 범위와 신속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앞서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위원장이 지난달 25∼26일 무인항공기술연합체와 탐지전자전연구집단의 국방과학연구사업을 지도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통신은 "시험에서는 각이한 전략 대상들과 지상과 해상에서의 적군의 활동을 추적 감시할 수 있는 탐지 능력을 갖춘 신형무인전략정찰기의 혁신적인 성능이 확증됐다"며 "다양한 전술 공격 임무수행에 이용할 수 있는 자폭 무인기들의 타격 능력이 남김없이 과시됐다"고 보도했다.
앞서 북한은 지난 2023년 7월 무장장비전시회에서 글로벌호크와 유사한 전략무인정찰기를 공개했으며, 같은 달 진행된 6·25전쟁 정전협정 체결일 70주년(전승절) 열병식 보도에서 '샛별-4형'으로 칭한 무인정찰기의 비행 장면이 나왔다.
이번에 김 위원장이 참관한 무인정찰기는 2023년 당시 공개된 무인정찰기보다 날개가 좁고 길어진 모습이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조준형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