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산림복구 30년 토양 복구까지는 100년’…"경남북 산불 복원 피해 특성에 맞게 해야"

지난 31일 경북 안동시 임하면 개호송 숲 일부가 산불에 피해를 본 가운데 수목치료업체에서 까맣게 탄 소나무를 세척하고 있다. [연합뉴스]


산불 피해 역대 최대 4만8239㏊

경남과 경북을 중심으로 전국 곳곳에서 발생한 대형산불의 영향구역이 역대 최대인 4만8239㏊를 기록한 것으로 31일 집계됐다.

31일 산림청과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이번 산불 피해지역의 산림이 회복되는 데엔 최소 30년, 토양 복구까지는 100년 넘게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산불이 발생하고 나면 산림 생태계 전체가 급속하게 황폐해지기 때문이다.

국립산림과학원이 2023년에 발표한 ‘산불피해지 복원의 주요 연구결과와 미래방향’에 따르면 산불 이전 수준으로 산림 생태계가 회복되려면 어류는 3년, 물에서 생활하는 수서동물 9년, 곤충은 14년이 걸렸다. 포유류는 20년이 지난 후에도 산불 이전보다 81~86%, 조류는 62~72% 수준에 머물렀다.

토양은 숲 생태계의 순환 속에서 동물과 미생물의 활동을 통해 형성됐기 때문에 더 오랜 시간이 필요했다. 사막처럼 변한 산불 피해지가 산림의 형태를 갖추는 데만 30년 이상, 생태적 안정 단계에 이르기까지 100년 이상이 걸렸다.

지난 29일 산불 피해 지역인 경북 영덕군 일대 산들이 까맣게 타 있다. [뉴스1]


산불나면 사실상 사막처럼 변해

남성현 전 산림청장은 “산불이 나면 피해지역 토양은 사실상 사막처럼 변해 복귀되는 데 100년이 걸린다. 미생물이 다 죽어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재선충병 등 각종 병충해의 온상이 될 수 있다”며 “비가 내려 산불 피해지역의 정수처리 안 된 토양이 해안가 저수지로 쓸려가면 어족 자원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나무와 낙엽이 불에 타 사라졌기 때문에 비가 조금만 와도 토사가 유출돼 산사태와 홍수 같은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런 상황에서 2차 피해를 막기 위해선 어떤 조치가 필요할까.

산불 피해가 발생하면 우선 산사태 등으로 인한 2차 피해가 나지 않도록 산불 발생 당해 연도 장마철 이전에 사방(砂防) 복구 사업을 해야 한다.

산불 피해 나무의 피해 강도를 ‘심(深)ㆍ중(中)ㆍ경(輕)’으로 분류해 살릴 수 있는 나무는 살려야 한다. 심의 경우 나무의 잎과 가지가 시커멓게 탄 것을, 중은 잎 전체가 갈변한 상태를, 경은 불이 스치고 지나가 대부분이 푸른 것을 말한다.

지난 30일 주불 진화가 완료된 경북 안동시 남후면 일대 산들이 까맣게 타 있다. 멀리 안동 시내가 보인다. [연합뉴스]


주요 지점에 불에 강한 나무 심어야

이어 6대 산림 기능을 회복할 수 있게 체계적으로 조림이 필요하다. 6대 산림 기능은 생활환경보전림, 자연환경보전림, 수원함양림, 산지재해방지림, 산림휴양림, 목재생산림 등이다.

산사태 발생이 우려되는 곳에 뿌리가 깊은 오리나무 등을 섞어 가꾼다. 주거지와 사찰 등 주요 시설 주위에는 불에 강한 굴참나무, 느티나무 등을 심는다.

강원석 목포대 원예산림학부 교수는 “이번 산불은 피해 면적이 넓고 지역마다 특성이 달라 지역 맞춤형 복원 계획이 수립될 가능성이 높다”며 “예컨대 바람이 빠르게 지나간 지역은 살릴 수 있는 피해 강도가 경인 나무들이 많을 텐데 이런 논의가 빠르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른 시일 내에 다양한 분야의 이해관계자들이 만나 복원 관련 협의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진호.김방현([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