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파나마 운하 두고 맞붙은 美·中…글로벌 해운 업계 영향은

파나마 운하를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떠오르고 있다. 사진은 파나마시티 인근 운하의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중국이 미국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파나마 운하 사업 인수에 제동을 걸었다. 파나마 운하를 되찾아 오겠다는 트럼프 행정부의 방침과 충돌하는 모양새다. 운하를 둘러싼 미·중 갈등이 본격화하면 글로벌 해운 산업이 위축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31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중국의 반독점 기구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SAMR)은 지난 28일 홍콩계 기업 CK허치슨홀딩스가 블랙록에 파나마항만회사(PPC)의 지분 90%를 매각하는 거래에 대해 조사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PPC는 파나마 운하의 5개 항구 중 2곳(발보아·크리스토발항)에서 물류 처리 사업을 하고 있다. SAMR은 홈페이지에 올린 입장문에서 “반독점 부서에서 (이번 거래를) 주목하고 있으며, 법에 따라 심사해 시장의 공정 경쟁을 보호하고 사회의 공공 이익을 지킬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CK허치슨홀딩스와 블랙록은 다음 달 2일로 예정돼 있던 최종 계약 체결을 미뤘다.

김영옥 기자
글로벌 해운 업계는 당초 블랙록의 PPC 인수 배경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바람이 담겨 있다고 봤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 연설에서 “중국이 파나마 운하를 운영하고 있다”며 “우리는 운하를 중국에 주지 않았고, 그것을 되찾아올 것”이라고 말했다. 연간 1만4000척의 선박이 통과하는 파나마 운하는 전 세계 해상 무역량의 3%를 차지하는 핵심 물류 시설이다. 미국은 이 운하를 통해 지난해 1억5706만톤(t)의 화물을 옮겼고, 중국(4504만t)·일본(3073만t)·한국(1967만t)이 차례로 운송량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파나마 운하가 미국 물류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영향력을 배제해야 한다고 본 것이다.

파나마 운하를 둘러싼 미·중 갈등이 불거지자 국내 해운 업계는 물동량 감소를 우려하고 있다. 양국이 상대 국가의 해운 서비스에 규제를 가하면 물류 비용이 비싸져 물동량이 줄어들 거란 걱정이다. 미 무역대표부(USTR)는 지난 2월 미국에 입항하는 중국 선사의 선박과 중국산 선박에 각각 100만 달러(약 15억원)와 150만 달러(약 22억원)의 수수료 부과를 검토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4일(현지시간) 연방 의회 합동 연설에서 파나마 운하를 환수해야 한다는 기존 주장을 되풀이했다. AP=연합뉴스
해운업계 관계자는 “PPC의 주인이 바뀌는 것 자체보다는 미·중 갈등으로 인한 불확실성 증가와 해운 산업 위축이 큰 문제”라며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 정책으로 글로벌 물동량이 줄어드는 상황이라 두 나라 간 갈등에 대한 우려가 크다”라고 말했다. 글로벌 해상 운임을 나타내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1월 첫 주(2505.2) 이후 지난 21일(1292.8)까지 10주 연속 하락했다.

다만, 이번 갈등이 두 나라 간 전면전까지 확대되지는 않을 거란 전망도 나온다. 중국이 반독점 조사 카드를 활용해 PPC의 매각을 허용하되, 블랙록이 중국 기업을 차별하지 않도록 현재 운임 체계 유지하는 ‘조건부 승인’ 시나리오가 언급된다. USTR의 수수료 부과도 미국 내 물가 상승을 부추길 우려가 있는 만큼 현실화하기 어려울 거란 지적도 있다.

양종서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중국산 선박 규제가 시행되면 미국에 들어갈 수 있는 배가 제한돼 미국 항로의 운임과 물류 비용은 치솟고, 다른 항로엔 선박이 몰리며 정반대의 현상이 일어날 것”이라며 “이런 규제를 미국이 진짜 실행하기보다는 카드를 손에 쥔 채 다른 협상에서 우위에 서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고 분석했다.



오삼권([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