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나마 운하 두고 맞붙은 美·中…글로벌 해운 업계 영향은

31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중국의 반독점 기구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SAMR)은 지난 28일 홍콩계 기업 CK허치슨홀딩스가 블랙록에 파나마항만회사(PPC)의 지분 90%를 매각하는 거래에 대해 조사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PPC는 파나마 운하의 5개 항구 중 2곳(발보아·크리스토발항)에서 물류 처리 사업을 하고 있다. SAMR은 홈페이지에 올린 입장문에서 “반독점 부서에서 (이번 거래를) 주목하고 있으며, 법에 따라 심사해 시장의 공정 경쟁을 보호하고 사회의 공공 이익을 지킬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CK허치슨홀딩스와 블랙록은 다음 달 2일로 예정돼 있던 최종 계약 체결을 미뤘다.

파나마 운하를 둘러싼 미·중 갈등이 불거지자 국내 해운 업계는 물동량 감소를 우려하고 있다. 양국이 상대 국가의 해운 서비스에 규제를 가하면 물류 비용이 비싸져 물동량이 줄어들 거란 걱정이다. 미 무역대표부(USTR)는 지난 2월 미국에 입항하는 중국 선사의 선박과 중국산 선박에 각각 100만 달러(약 15억원)와 150만 달러(약 22억원)의 수수료 부과를 검토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다만, 이번 갈등이 두 나라 간 전면전까지 확대되지는 않을 거란 전망도 나온다. 중국이 반독점 조사 카드를 활용해 PPC의 매각을 허용하되, 블랙록이 중국 기업을 차별하지 않도록 현재 운임 체계 유지하는 ‘조건부 승인’ 시나리오가 언급된다. USTR의 수수료 부과도 미국 내 물가 상승을 부추길 우려가 있는 만큼 현실화하기 어려울 거란 지적도 있다.
양종서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중국산 선박 규제가 시행되면 미국에 들어갈 수 있는 배가 제한돼 미국 항로의 운임과 물류 비용은 치솟고, 다른 항로엔 선박이 몰리며 정반대의 현상이 일어날 것”이라며 “이런 규제를 미국이 진짜 실행하기보다는 카드를 손에 쥔 채 다른 협상에서 우위에 서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고 분석했다.
오삼권([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