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00억 쏟아부었는데…뚜껑 열어보니 백설공주 '흥행 실패'

AP통신과 할리우드 매체 버라이어티 등은 30일(현지시간) 컴스코어 자료 등 업계 추산치를 인용해 지난 주말(28∼30일) 북미 극장가에서 ‘백설공주’가 1420만 달러(약 209억원)의 티켓 수입을 기록해 박스오피스 2위로 내려앉았다고 전했다.
‘백설공주’의 둘째 주말 수입은 첫 주 대비 66% 급감했다.
북미 박스오피스 1위는 액션 스타 제이슨 스테이섬의 ‘어 워킹 맨’(A Working Man)이 차지했다. 이 영화는 개봉 첫 주말 1520만 달러의 수입을 올렸다.
‘백설공주’는 2억5만 달러(약 3678억원) 이상의 제작비가 투입된 대작으로, 북미 4천200개 영화관에서 지난 21일 개봉해 열흘간 6680만 달러(약 983억원)의 수입을 기록하는 데 그쳤다. 북미 외 지역을 포함한 전 세계 수입은 1억4310만 달러(약 2105억원) 수준이다.
이 영화는 콜롬비아 출신 어머니를 둔 미국 배우 레이첼 지글러가 주인공 백설공주 역할을 맡아 개봉 전부터 여러 구설에 오르며 대중의 외면을 받았다.
원작에서 새하얀 피부를 가진 것으로 묘사된 백설공주 역에 지글러의 외모가 어울리지 않는다는 비판이 나왔다. 일부 디즈니 팬들은 지글러의 어두운 피부색을 가리키며 ‘흑설공주’라고 조롱했다. 이에 지글러는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그 역할을 위해 내 피부를 표백하진 않을 것”이라고 응수했다.

제목이 ‘백설공주’인데 원작 설정에 맞지 않게 라틴계 배우를 기용한 데 대해 제작진의 과도한 PC(Political Correctness·정치적 올바름)주의가 문제라는 비판도 나왔다. ‘워크’(woke·사회정치적 이슈에 대해 깨어 있는 태도)를 내세우며 오히려 작품을 망치고 있다는 평이다.
지글러는 또 디즈니 애니메이션 원작 내용에 대해 ’백설공주가 자신을 스토킹하는 남자를 사랑하게 되는 내용’이라고 해석하면서 “이상하다”고 발언해 원작 팬들의 반감을 샀다.
지글러는 지난해 11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당선된 직후에는 트럼프 대통령과 지지자들에 대한 원색적인 욕설이 담긴 글을 인스타그램에 게시해 역풍을 맞기도 했다.
미국 언론은 ‘백설공주’가 제작비를 회수하려면 장기 흥행이 필요하지만, 다음 주 가족 관객을 겨냥한 또 다른 영화 ‘마인크래프트 무비’가 개봉할 예정이어서 ‘백설공주’의 1위 탈환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다.

한영혜([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