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총리 "美와 오랜 관계 이제 끝났다…과거로 못 돌아가"

카니 총리는 이날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에 대응하기 위한 내각 특별위원회 회의를 마친 뒤 회견에서 “우리는 미국에는 최대한의 영향을 미치고 캐나다에는 최소한의 영향을 주는 보복 조치로 미국의 관세에 맞서 싸울 것”이라며 “우리의 노동자와 나라를 지키기 위해 어떤 선택지도 배제하지 않겠다”고 했다.
카니 총리는 다음달 2일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관세의 윤곽이 드러난 후 종합적인 대응책을 내놓을 계획이라고 했다.
그는 “미국이 비교적 빠른 속도로 일련의 조치를 내놓고 있는 가운데 이에 각각 대응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며 “우리는 일주일 후 더 많은 것을 알게 될 것이고 그때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카니 총리는 이어 “깊은 경제 통합과 긴밀한 안보 및 군사 협력을 바탕으로 했던 미국과의 오래된 관계는 이제 끝났다”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이 더는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가 아니라는 점은 분명하다”며 “포괄적인 협상을 통해 일부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과거로 되돌아갈 수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 여부에 대해선 “어젯밤 미국 대통령 측이 통화 일정을 잡기 위해 연락해왔다”며 “하루나 이틀 안에 대화를 나눌 것”이라고 언급했다.
다만, 그는 미국과의 협상이 진전되기 위한 조건으로 미국이 캐나다의 주권을 존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트럼프는 지난 1월 취임 이후 쥐스탱 트뤼도 전 총리를 상대로 “미국의 51번째 주가 돼라”며 위협해왔으며 이는 관세 압박과 맞물려 캐나다 내에 반미 감정을 부추기고 있다.
카니 총리는 “우리의 주권을 존중해달라는 것은 우리 입장에선 그리 대단한 요구가 아니지만, 그에겐 큰 문제인 듯하다”라며 “따라서 그러한 존중이 있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캐나다가 유럽연합(EU)과 협력해 대미 보복 조치에 나선다면 더 큰 대규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트럼프 대통령이 위협한 것과 관련해선 “우리는 주권 국가이고 결정은 우리가 한다”며 “그가 하는 발언에 주의를 기울이지만 그 이상의 의미는 없다”라고 밝혔다.
배재성(hongdoya@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