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복이냐 협상이냐"…'트럼프 관세' 대응 고심하는 미주·유럽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27일(현지시간) 트럼프 행정부의 자동차 관세에 "우리의 노동자와 나라를 지키기 위해 어떤 선택지도 배제하지 않겠다"며 "미국의 관세에 맞서 보복 조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경제 통합과 안보 및 군사 협력을 바탕으로 했던 미국과의 오랜 관계는 이제 끝났다"고 했다.
━
캐나다는 '보복' 멕시코는 '협상'

다만 구체적인 보복조치 내용은 내달 2일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관세가 발표된 후 드러날 것으로 예상된다. 카니 총리는 "미국이 비교적 빠른 속도로 조치를 내놓고 있어 각각 대응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설명했다.

멕시코 정부는 미국과 실무자 회담을 통해 자동차 부품 관세 협상을 진행 중이다. 마르셀로 에브라르드 멕시코 경제부 장관은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과 지금까지 최소 6차례 만나 자동차 부품 관세가 면제될 수 있도록 협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멕시코도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 이후 추가 대응 가능성을 열어둔 상태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4월 2일께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를 향해 우리의 전략을 발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유럽 손 내밀었지만…"협상 없다"

여기에 26일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 조치까지 더해지며 EU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EU의 부가가치세를 콕 집어 비판했기 때문에 상호관세의 주된 타깃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올로프 질 EU 집행위 무역담당 대변인은 "협상을 통해 미국과 EU 양쪽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해결책을 찾는 것이 우리의 최우선 목표"라며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는다면 단호하고 비례적인 대응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각국의 움직임을 주시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소셜에 "EU가 캐나다와 협력해 미국에 경제적 피해를 주려 한다면 계획한 것보다 더 큰 규모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장윤서([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