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오로 물든 ‘소년의 시간’…어른은 아무것도 몰랐다
![‘소년의 시간’ 1부 속 장면. 아빠 에디(스티븐 그레이엄·왼쪽)는 아들 제이미(오언 쿠퍼)의 동급생 살해 혐의로 인해 경찰에 불려간다. 시종일관 “내가 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고수하는 제이미 앞에 에디는 고심한다. [사진 넷플릭스]](https://www.koreadaily.com/data/photo/2025/03/26/eb6545b5-0dc5-40d9-b1cb-8cad102813ce.jpg)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소년의 시간’(원제 ‘Adolescence’) 이야기다. 지난 13일 첫 공개된 이 영국 드라마는 공개 후 10일 넘게 전세계 넷플릭스 TV쇼 1위(25일 플릭스패트롤 기준)를 이어가고 있다. IMDb(인터넷무비데이타베이스)에서 10점 만점에 8.4점을 받았고, 로튼토마토 신선도 지수 99%를 기록했다. 외신들도 “고요하게 충격적인 드라마”(데일리 텔레그래프), “단순한 범죄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 사회를 향한 깊이 있는 비판”(뉴욕타임스)이라며 주목했다.
13살 소년 제이미 밀러(오언 쿠퍼)가 동급생 살인 혐의로 체포되며 시작하는 이야기. 동시에 10대의 심리를 추적하기 위한 어른들의 분투극이기도 하다. 사건 수사를 다룬 초반 1, 2부는 범죄 스릴러의 느낌이, 사건의 진실을 파헤치는 3, 4부는 섬세한 심리극의 향이 짙다.
무엇보다 ‘비자발적 독신주의자’(Involuntary Celibate)의 줄임말이자 연애를 못하는 이유를 여성들에게서 찾는 남성을 의미하는 ‘인셀’을 핵심 요소로 등장시켜 전 세계의 공감을 샀다. 영국은 이미 인셀 문화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거론되는 상황. 지난해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인셀을 기존의 ‘극단주의 우려범주’로 둔 데서 나아가 극단적 여성혐오를 테러로 규정해 관리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젠더갈등·세대갈등 전면에=극 중 제이미는 ‘괴물’이거나 ‘악마’가 아니다. 인셀 문화에 젖어든 학생들 또한 특별하지 않다. 드라마 속 평범한 청소년들은 80%의 여성이 상위 20%의 남성만을 만난다는 ‘20:80법칙’, 영화 ‘매트릭스’를 인용해 여성은 남성중심적 세상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의미의 ‘빨간약 이론’ 등을 상징하는 이모지를 주고받으며 성별에 따른 혐오를 내재화한다. 혐오는 SNS를 통해 전파되고, 사이버불링은 물론 여성의 사적 사진을 불법으로 공유하는 등 현실 세계의 문제로까지 이어진다.
하지만 드라마 속 어른들은 이들의 정서를 전혀 읽지 못한다. 담당 형사 루크 배스컴 경위(애슐리 월터스)에게 “아빠는 애들이 뭘 하는지 알지 못한다”고 말하는 아들의 답이 이 작품을 관통하는 문제 의식이다. 온라인 세계의 문법을 모르는 ‘기성세대’ 경위는 ‘매너스피어’(남성 중심 커뮤니티)에서 행동을 촉구할 때 쓰는 이모지와 동조한다는 의미의 하트들이 왜 등장했고, 이런 대화가 제이미의 심기를 어떻게 건드렸는지 상상조차 하지 못한다.
◆열쇠는 소통에 있다=왜곡된 남성관, 여성혐오, 서열화된 교실은 영국 뿐 아니라 많은 나라의 청소년들이 겪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작품은 시종일관 ‘왜’를 설명하지 않는다. 심리학자를 만난 제이미가 또래 문화 내의 압박감, 여성을 향한 공격성 등을 토해내듯 표출하는 모습을 통해 현실의 단면을 보여줄 뿐이다. 이를 따라가다 보면 제이미의 행동엔 부모, 학교, 친구 모두가 복합적으로 영향을 끼쳤다는 것을 알게 된다.
결국 드라마가 전하는 건 인셀 문화가 촉발한 복합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더 많이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는 메시지다. 공동 작가 잭 손은 BBC와의 인터뷰에서 “현실에도 같은 문제가 반복되고 있다”며 “더 악화되기 전에, 우선 문제를 이야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소년의 시간’은 회차마다 딱 한 번씩 촬영하는 ‘원테이크’를 활용했다. 일반·드론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를 썼다. [사진 넷플릭스]](https://www.koreadaily.com/data/photo/2025/03/26/371b3c16-6448-4c9e-984d-840e2e033407.jpg)
이러한 기법은 시청자들을 3인칭 시점으로 이끈다. 시청자는 질문을 품은 채 마치 유령처럼 현장을 따라다니게 된다. 대신 직접적으로 등장인물의 심리를 설명하는 장면은 생략됐다. 청소년의 심리, 인셀 문화에 대해 아는 만큼만 이야기를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다큐멘터리처럼 현실적’이라는 젊은 세대의 의견과 ‘실제 이런 일이 있느냐’는 기성세대의 반응이 확연하게 갈리는 이유다.
최혜리([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