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에 들어선 ‘한양아파트’…모두 석유 때문이었다
“1979년 10월, 2차 석유파동. 석윳값이 3배로 오르고 걸프 석유 회사는 한국에 30% 원유 수출 삭감을 통보했다. 국가 주도로 한국 건설회사들이 중동에 파견되었다. 당시 중동 건설 수주액은 한국 정부 예산의 4분의 1.”
전시장에서 상영되는 20분 영상에 작가의 내레이션이 흐른다. 김아영(46)의 신작 ‘알 마터 플롯 1991’이다. 서울 도산대로 아뜰리에 에르메스에서 열리는 그의 개인전 ‘플롯, 블롭, 플롭’에서 선보인다. ‘구획, 방울, 퐁당’을 뜻하는 이 제목은 작가의 언어 유희다.
작가의 아버지가 부장으로 있던 한양건설도 중동의 여러 건설 사업을 수주한다. 그중 하나가 사우디 최초의 대규모 아파트 단지 중 하나였던 알 마터 주택단지, 교민들은 이곳을 ‘한양아파트’라고 불렀다. 한국의 건설 인력 6000명은 숙소에서 새벽 4시 반에 일어나 버스에 나눠 타고 현장으로 이동했다. 다 함께 국민체조로 일과를 시작했고, 저녁을 먹은 뒤 밤 10시까지 일했다.
아파트 완공 후 9년 뒤인 1991년 걸프전이 터지고서야 사우디 정부가 미수급을 지급해 남은 인력이 귀국할 수 있었다. 9년 동안 비어 있던 아파트의 첫 입주자는 이라크의 침공으로 터전을 잃게 된 쿠웨이트 난민들이었다. 지금도 ‘쿠웨이트 아파트’라고 불리는 이유다. ‘알 마터 플롯 1991’에는 아파트 건설에 참여한 아버지 동료들의 기억부터 이국의 소식과 작은 선물에 기뻐하던 어린 시절 작가의 꿈, 걸프전에 참전한 군인의 소회, 전망이 좋아 알 마터 아파트를 선택했다는 현지 주민의 인터뷰 등이 교차한다.
김아영은 올해 가장 뜨거운 한국 미술가다. 한국 작가로는 처음 LG 구겐하임 어워드 수상자로 선정돼 5월 뉴욕 시상식에 참석한다. 지난달 베를린의 함부르거 반호프 미술관에서 독일 첫 개인전을 열었고, 5월엔 런던 테이트 모던의 25주년 기념 소장품전에 참여한다. ‘딜리버리 댄서의 구’(2022)를 출품하는데, 그에게 세계 최대 미디어 아트상인 ‘프리 아르스 일렉트로니카’의 최고상 ‘골든 니카’상을 안긴 작품이다. 10월에는 홍콩 M+ 미술관 외벽에 영상을 선보이고, 11월에는 뉴욕 현대미술관(MoMA) PS1 분관에서 개인전을 연다. 세계 주요 전시공간 어디선가 연중 내내 그의 작품을 볼 수 있는 셈이다.
코로나 시기 배달 노동자의 일상에 주목해 만든 영상 ‘딜리버리 댄서’ 시리즈는 게임 엔진과 생성형 인공지능(AI)을 적극 활용한 영상 제작 방식으로 주목을 끌며 해외 매체로부터 ‘디지털 아티스트’, ‘혁신가’라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김아영은 “실은 나는 아날로그적인 아카이브를 기반으로 상상하는 작가”라며 “늘 같은 마음으로 종로 낙원상가 아파트의 작업실에서 살며 작업할 뿐”이라고 했다.
아뜰리에 에르메스 안소연 디렉터는 “김아영의 시공간은 고대에서 미래까지 광범위하다”며 “예술적 상상력이 때론 출발점의 닻을 끊어버리고 연처럼 날아가 만화적 상상력이 될 수도 있지만, 현실에 대한 첨예한 비평의식을 갖고 있는 김아영에게는 해당하지 않는 얘기”라고 말했다. 6월 1일까지, 무료.
권근영(
[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