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금리 4.25~4.50%로 동결
“경제전망 불확실성 증가”
연내 2차례 금리인하 시사
올해 성장률 전망 1.7%로↓
연말 소비자물가 2.7%로↑
![제롬 파월 연준(Fed) 의장이 19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종료 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기준금리 동결 결정의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로이터]](https://www.koreadaily.com/data/photo/202503/20/160bd9b1-2765-47ce-ac30-c494b7008e69.jpg)
제롬 파월 연준(Fed) 의장이 19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종료 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기준금리 동결 결정의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로이터]
연준은 이날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무리하면서 기준금리를 기존 4.25∼4.50%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연준은 지난 1월 29일, 올해 처음이자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 열렸던 FOMC에 이어 2회 연속으로 금리를 동결했다.
일각에서 경기 침체 우려가 제기됐지만 인플레이션 완화 추이가 둔화한 데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으로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 등을 감안한 동결 결정으로 풀이된다.
분기 말마다 공개하는 경제전망예측(SEP)에서 연준은 올해말 기준금리(중간값)를 3.9%로 예측함으로써 연말까지 0.25% 포인트씩 2차례 금리 인하가 있을 것임을 시사했다. 이는 작년 12월의 예측치를 유지한 것이다.
또한 연준은 올해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이하 중간값)를 작년 12월의 2.1%에서 1.7%로 하향했다.
연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상승률 예상치는 2.7%(종전 2.5%)로, 연말 ‘근원 PCE 물가 상승률’(변동성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 품목을 제외한 물가 상승률) 예상치는 2.8%(종전 2.5%)로 각각 올렸다.
또 연말 실업률 예측치는 종전 4.3%에서 4.4%로 소폭 상향했다.
FOMC는 이날 기준금리 동결 등 회의결과를 담은 성명에서 “최근 지표에 따르면 경제 활동은 견고한 속도로 계속 확장되고 있다”며 “실업률은 최근 몇 달 동안 낮은 수준으로 안정화했으며 노동 시장 상황은 여전히 견고하며 인플레이션은 다소 상승한 상태”라고 진단했다.
FOMC는 이어 “위원회는 장기적으로 최대 고용과 2%의 인플레이션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힌 뒤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가했다”고 진단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대대적으로 전개중인 ‘관세전쟁’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 등을 감안한 언급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회의 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인플레이션이 우리의 조치 없이 빠르게 사라질 것으로 예상되는 일시적인 현상이라면 때론 그런 인플레이션을 간과하는 게 적절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관세 인플레이션의 경우에도 그럴 수 있다”며 “이는 관세 인플레이션이 상당히 빠르게 지나갈지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김은별 기자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