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칼럼] 스페셜올림픽 선언문의 교훈

토니 채 댈러스중앙일보 편집국장
스페셜올림픽은 지난 1968년 시카고에서 첫 대회를 시작으로 동계 대회는 이번이 12회째라고 한다. 2017년 오스트리아 대회 이후 8년 만에 열리는 대회인 만큼, 개막식 분위기는 과거의 그 어느 대회보다 뜨거웠다고 한다.
스페셜올림픽은 발달 장애인들의 잠재력을 끌어올려 사회 진출을 유도하자는 취지로 열리는 대회다. 경쟁보다는 과정을 중시하고, 참가 선수들이 자신감을 얻을 수 있도록 동등한 실력의 선수나 팀을 한 조에 묶어 조별로 순위를 가린다. 또한 경기에 참가한 선수 전원이 시상대에 오르고, 국가별 등수는 가리지 않는다.
스페셜올림픽을 페럴림픽과 혼동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페럴림픽은 뇌성마비, 절단장애, 시각장애 등 신체 및 감각장애 선수들이 출전하는 대회인 반면, 스페셜올림픽은 지적 발달장애 선수들을 대상으로 하는 올림픽이다.
분위기상, 두 대회는 많은 차이가 있다. 패럴림픽은 올림픽과 마찬가지로 선수들이 피나는 노력으로 경쟁하는 대회다. 올림픽과 마찬가지로 출전 선수들에게는 순위에 따라 메달이 수여된다.
반면 스페셜올림픽은 순위보다는 스포츠를 통해 선수들이 사회에 대한 적응력을 키워가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런 이유에서 참가 선수들 전원이 순위에 관계없이 모두 시상대에 오른다.
페럴림픽과 스페셜올림픽이 서로 분위기는 다르지만, 장애인 선수들이 대회를 통해 당당히 세상 앞에 나서는 축제라는 점에서 본질은 크게 다르지 않다.
토리노에서 스페셜올림픽 개막식이 열렸던 8일, 댈러스에서도 특별한 이벤트가 열렸다. 재미대한 장애인 체육회(회장 남정길) 선수권 대회 및 재미대한 장애인 볼링협회(회장 정성일) 선수권 대회가 개최됐다. 스페셜올림픽과 마찬가지로 이번 대회에 지적 발달장애를 가진 한인 선수들이 참가했다. 이번 대회는 내년 6월5일부터 7일까지 댈러스에서 열리는 제3회 전미주 장애인 체육대회를 앞두고 일종의 ‘예행연습’ 형식으로 치러졌다.
댈러스를 비롯해 애틀랜타, 캔자스, 네브래스카, 시카고, 그리고 멀리 경기도에서도 선수들이 참가했다. 선수들은 볼링, 한궁, 콘홀, 탁구, 보치아 등의 종목에서 선의의 경쟁을 펼쳤다.
폐막식에서는 축제에 재미를 더하기 위해 종목별 메달 수여식도 열렸다. 순위에 들지 못한 선수들에게도 기념품이 수여됐다. 지난해 메릴랜드에서 열린 제2회 대회에서 안면을 텄던 탓일까. 선수들은 타지역 선수들과 허물없이 웃고 즐기며, 그야말로 축제 그 자체를 즐겼다. 선수들과 함께 나온 보호자들도 흐뭇해 했다.
메달 수여식에 앞서 사회자가 ‘스페셜올림픽 선수 선언문’을 낭독하며 선수들을 격려했다. “나는 승리합니다. 그러나 만약 이길 수 없더라도 용기를 잃지 않고 도전하겠습니다.” 그날 현장을 취재하면서 스페셜올림픽 선수 선언문을 처음 들었다. 뭔가 강력한 것에 머리를 얻어맞은 것 같았다. “나는 왜 이런 각오로 매사에 임하지 않았을까”하는 뉘우침이랄까.
용기를 잃지 않고 도전하는 자체만으로 이들은 이미 도전에 성공한 것이라는 깨달음을 얻었다. 비장애인들은 자신이 장애인들을 ‘배려’ 한다고 생각하지만, 용기로 삶에 도전하는 이들에게서 비장애인들이 오히려 배워야 할 게 더 많은 것인지도 모른다.
내년 6월 댈러스에서 열리는 제3회 전미주 장애인 체육대회 역시 장애인들에 대한 배려의 자리가 아닌, 지역사회가 이들과 함께 호흡하며 삶의 교훈을 얻는 자리다. 용기를 잃지 않고 도전하는 그대들의 모습을 그리며, 내년 댈러스에서 그대들과의 재회를 기다려 본다.
토니 채 / 댈러스중앙일보 편집국장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