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ㆍ바이든 웃고 베이너 울었다…'재정절벽' 싸움 승자는
구원투수 바이든 존재감 부각
베이너 하원의장직 연임할까
대체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상당한 성과를 거뒀다는데 이견이 없어 보인다. 대통령 선거 캠페인 때부터 '부자증세'를 주창해온 그는 시종 공화당을 거칠게 몰아세웠다.
당초 자신이 처음 꺼냈던 부자증세 기준선인 25만달러(부부 합산)에서 한발 물러나 45만 달러가 되긴 했지만 20년만에 부유층을 상대로 한 세금 인상을 현실화시킨 뚝심을 과시했다. 백악관도 하원의 표결이 나온 직후 '승리'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오바마는 하원이 법안을 처리한 직후 앞으로 벌일 국가채무 한도 상향조정 협상은 "좀 덜 드라마틱했으면 한다"는 말을 남기고 겨울 휴가 일정을 중간에 자른 게 아쉬운 듯 하와이로 또 떠났다.
이른바 '매코널-바이든 합의안' 도출의 주역인 조 바이든 부통령도 승자로 부각됐다. 지난달 30일까지 오바마 대통령과 존 베이너 하원의장 간 협의가 지지부진하자 '구원투수'로 등장한 바이든 부통령은 동갑(70)인 미치 매코널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와 협상장에 마주앉았고 결국 합의안을 도출해냈다.
워싱턴포스트는 바이든 부통령을 '승자'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대선 전만 해도 교체론이 나올 정도였던 바이든 부통령의 존재감이 더욱 확인되는 순간이었다.
반면 공화당은 일단 전선에서 후퇴한 진영으로 규정되고 있다. 대규모 감세정책으로 미국의 새로운 부흥을 이끌었다는 레이건의 유산을 간직하고 있는 공화당으로서는 '부자증세안'을 받아들인 것이 뼈아픈 결과가 아닐 수 없다. 그렇다고 재정적자 감축을 위한 연방정부 예산삭감을 얻어낸 것도 아니다.
특히 공화당 진영을 지휘한 존 베이너 하원의장의 리더십이 도마에 올랐다. 그는 이른바 '플랜B'라고 명명된 자신의 협상안인 증세 기준선 '100만달러' 제안이 공화당 의원들에게마저 거절당하고 말았다.
심지어 제프 랜드리 하원의원(루이지애나)은 "대통령이 베이너 의장을 맘대로 움직였다"며 노골적으로 베이너 의장에 대해 불만을 피력했다고 정치전문지 폴리티코가 2일 전했다.
하원 표결 결과를 보면 공화 의원 중 143명이 베이너 의장이 정한 당론에 따라 투표를 했으나 찬성표가 85표밖에 안 나왔다. 새 의회 임기가 시작되는 3일 하원의장직 연임에 도전하기로 한 베이너 의장의 발걸음이 결코 가볍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