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칼럼]방(bedroom)과 덴(den)의 차이

최태은의 부동산 이야기
북VA부동산협 이사·실버라인 부동산 대표
 

방 2개짜리 콘도를 팔고 싶다는 셀러한테서 연락이 왔다. 막상 가보니 방은 하나에 덴(den)이 있는 구조였다. 그 며칠 후 방 4개의 단독 주택을 팔려고 준비 중이라는 분의 전화를 받고 방문해 보니 이 또한 방 3개에 예쁘게 꾸며진 지하층에 덴이 있는 상황이었다. 이 두 경우 다 덴을 침실로 이용해 왔고 창문과 옷장(closet)이 있어 집주인들은 철썩같이 방이라 믿고 있다가 아닌 것 같다는 필자의 말에 아연실색했다.
 
그렇다면 대체 부동산 법률상 ‘방(bedroom)’은 무엇을 의미하는 걸까? 먼저 그 공간이 방인지 아닌지를 가늠하는 데는 해당 관공서의 기본적인 조닝 규정을 비롯하여 건물의 종류 및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래서 위에서처럼 덴을 방으로 여기는 셀러들의 주장에 부동산 중개인인 필자의 직업상 이를 확실히 단언할 수 없으므로 일단 아닐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며 지역 관할 관공서에 문의하기를 조언했다.
 
사실 건축업에 종사하는 사람이 아니고선 복잡한 조닝 규율을 정확히 해석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동네에 따라 그 규정에 많은 차이를 보일 수 있으므로 절대 추측으로 일을 처리하는 것은 위험천만이다. 하지만 버지니아주 전체에서 통용되는 다음의 몇 가지 조건을 살펴 대중에게 잘 못 알려진 ‘방’에 대한 상식을 바로잡고자 한다.
 
첫째, Egress(출구)란 단어를 이해하는 게 중요한데 간단히 얘기하자면 ‘방’의 자격을 갖추기 위해서는 그 공간에서 나갈 수 있는 출구가 두 군데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즉 방에서 집 안으로 통하는 문 하나와 그리고 집 밖으로 직접 나가는 문 하나가 따로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집 밖으로 통하는 출구는 창문을 의미한다. 그리고 방 창문의 크기는 적어도 5.7평방피트여야 한다. 덧붙여 언제든지 발을 딛고 올라설 수 있는 계단이 영구적으로 설치되어 있지 않는 한 방바닥에서부터 44인치 이상의 높은 곳에 창문이 달려있어선 안 된다. 높게 설치된 창문은 키가 작은 사람이나 어린 아이에게는 그림의 떡일 뿐 도저히 밖으로 나가는데 소용이 없으니 말이다. 그리고 egress 창문을 창살로 막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는 불법이다. 또 한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 이동할 때 중간의 방을 거쳐가야 한다면 그 첫 번째 공간은 방이 아니다. 다시 말해 방이 되려면 이 방에서 저 방으로 직접 통할 수 있어야 한다. 흔한 예로 안방에 붙어 있는 sitting room(거실)을 방으로 치지 않는 것은 상식이 아닌가? 같은 개념으로 따져 한 공간에서 화장실을 가기 위해서 다른 방을 통해 지나가야 한다면 이 또한 방이라 할 수 없다.
 
둘째, 옷장(closet)의 유무는 방의 자격조건과 전혀 상관이 없다.
 
셋째, 방의 크기는 최소한 70평방피트여야 하고 만약 여러 명이 같이 쓴다면 1인당 50평방피트의 공간이 필요하다.
 
넷째, 방 천장의 높이는 최소 7피트여야 한다.
 
다섯째, 방마다 자연통풍이 가능하고 난방장치가 되어 있어야 한다.
 
이같은 조건이 만족되는 공간이 방으로 인정된다. 우리 집에는 방이 몇개인지 한번 체크해 보자.
 ▷문의: 703-966-7268, [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