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이 아침에] 나쁘다와 밉다

조현용/경희대 교수·한국어 교육

나쁘다와 밉다는 같은 글자이다. 우리말에서가 아니라 한자어에서 그렇다. 한자의 나쁠 ‘악(惡)’자는 미워할 ‘오’자로 읽히기도 한다. 즉 같은 글자에 두 가지 발음과 뜻이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한자어에는 같은 글자가 다른 소리,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글자들을 전주문자(轉注文字)라고 한다. 그런데 이런 전주문자는 왜 생겨난 것일까?

한글은 같은 글자가 다른 발음이 된다는 것은 애당초 불가능한 일이다. 소리글자이기 때문이다. 물론 같은 소리문자라고 하더라도 영어 같은 경우에는 같은 철자를 다르게 발음하는 경우들도 나타난다.

‘read' 같은 경우는 두 가지로 발음할 수 있다. 한국어는 한 단어가 두 가지 이상의 뜻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어휘를 다의어라고 한다. 앞의 한자어는 엄밀한 의미에서 보면 서로 전혀 다른 단어이다. 단지 한자만 같을 뿐 소리도 의미도 모두 다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전주문자들은 우리에게 생각할 거리들을 준다. 왜 서로 다른 단어들을 한 글자로 표현하였던 것일까? 한 가지 가능성은 방언의 차이를 들 수 있다. 발음이 다르지만 같은 의미의 단어를 사용하던 두 집단이 영향을 받으면서 발음의 차이로 의미의 분화가 이루어진 것이다.

예를 들어 ‘내릴 강(降)’과 ‘항복할 항’은 같은 글자 다른 발음. 다른 의미의 전주문자인데, 아마도 자신이 낮게 된다는 의미의 ‘내리다’와 ‘항복하다’가 원래 같은 단어였는데 분화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우리말의 ‘어리다’가 ‘어리석다’로 분화가 되거나 ‘슳다’가 ‘싫다’와 ‘슬프다’로 분화되는 예들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전주문자는 의미의 분화 과정에서 일어난 현상을 글자의 모양은 변화를 주지 않은 채 유지한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주목하는 것은 두 의미의 연관성이다. 원래는 하나의 의미였거나 서로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 의미였을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시 위의 예로 돌아가서 보면 ‘악하다’는 의미와 ‘미워하다’라는 의미는 어떤 연관성을 갖고 있을까?

단순하게 바라보아도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하나는 나쁜 것, 악한 것은 미워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 세상은 나쁜 것을 싫어하고 나쁜 것을 하지 않으려 노력해도 훨씬 아름다워질 것이다. 우리는 얼마나 자주 악의 유혹에 넘어가는가?

또 다른 추론으로는 ‘미워하는 것은 나쁜 것’이라는 해석도 가능하다. 사실 모든 나쁜 것을 미워해야 한다고 했지만 미움이라는 감정은 또한 얼마나 부정적인가? 미운 감정을 없애는 일도 우리의 삶에서는 무척이나 중요한 일이다.

그가 원수라도 내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말씀의 힘을 보라. 그가 원수 같은 중생일지라도 그 역시 부처님이라는 생각의 힘을 보라. 미워하는 것은 나쁜 것이라는 말이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는 세계의 깊이는 참으로 놀랍다.

이런 전주문자들을 앞에다 두고 여러 생각을 하고 있는 우리의 모습은 아름답다. 글자의 의미를 통해서 나의 삶을 돌아보고, 뼈저리게 반성하고, 나아갈 지표들을 찾는 것은 좋은 일이다. 언어와 문자는 우리의 삶과 동떨어진 단순한 의사소통의 도구가 아니다. 우리의 생활이고 사고이다.

즐거울 ‘락(樂)’자는 전주문자의 대표적인 글자이다. 풍류·음악이라고 할 때는 ‘악’으로 발음된다. 또한 좋아한다는 의미로 쓰일 때는 ‘요’로 발음된다. 그래서 산과 물을 좋아한다고 할 때, 요산요수(樂山樂水)라고 발음해야 하는 것이다.

‘즐겁다와 음악, 그리고 좋아하다’의 세 의미는 서로 어떤 관련성을 갖고 있을까? 그리고 우리의 삶에 어떤 깨달음을 주고 있는 것일까? 이 아침 새로운 화두를 드려본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